반응형

전체 글 448

[Android - 안드로이드] TextView 링크 관련(이메일, 웹주소 등등)

http://jhrun.tistory.com/138 블로그 참조. 좋으신 분 ㅠ_ㅠ 간단하게 TextView에다가 textView.setAutoLinkMask(Linkify.ALL); 라고 하면 이메일, 웹주소가 하나의 텍스트로 묶여있어도자동으로 구분함... 짱임... ex)TextView tv = new TextView(context);tv.setAutoLinkMask(Linkify.ALL);tv.setText("이메일 주소 : xxx@xxx.com 홈페이지 주소 : http://xxx.com");=> 이렇게 하면 자동으로 이메일주소 링크 클릭시 이메일관련 액션view 소환 홈페이지주소 링크 클릭시 인터넷관련 액션View 소환. Good!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..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Mac - 터미널 mail(?) 관련 - at, mail

http://labs.hoffmanlabs.com/node/1754 1) 맥os 에서 'at' 명령으로 작업 예약시 작동이 안 하는거 같은(?) 문제. 2) brew 를 이용해서 'mailutils' 설치-> 설치할 필요 없을 듯... 터미널에서 mail 명령 실행시 'commnad not found' 가 아니라면 설치 되어있을 수 있음-> 'mail' 명령 실행 시 'No mail for mac' 이라고 나오는 것은 현재 받은 메일이 없다는 뜻. 3) 'mailutils' 설치후 다시 'at' 명령으로 작업 예약4) 터미널에서 'mail' 명령실행 작업 결과 확인-> 작업 완료 후 'at'명령 실행시 'You have new mail in /var/mail/mac' 출력되면 작업 실행 결과가 메일로 왔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18

[Android - 안드로이드] Google(구글) 인앱 결제

아이군의 블로그http://theeye.pe.kr/archives/2118 발로 쓰는 블로그http://writefoot.tistory.com/entry/구글-inapp-billing-v3-인앱-결제 안드로이드 디벨로퍼http://developer.android.com/google/play/billing/billing_integrate.html http://developer.android.com/google/play/billing/billing_reference.html 정리가 매우 잘 되어있음.저 두분 블로그 참고해서 하는데 잘 됨 ( -_-)~ !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ForeGround(포어 그라운드), BackGround(백 그라운드) 프로세스, 작업 제어,작업 전환 - jobs, nohup(로그아웃 후에도 BackGround 작업 계속 실행)

ForeGround(포어 그라운드) 작업 - 사용자가 입력한 결과가 출력할 때까지 대기(프롬프트가 출력되지 않음)- 한 터미널에서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실행 가능-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없음 BackGround(백 그라운드) 작업 - 작업 제어(Job Control)가 제공- ForeGround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뒤에서 BackGround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으므로 한 터미널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실행 가능.- BackGround 방식으로 명령 실행시, 명령의 처리가 끝나는 것과 관계없이 곧바로 프롬프트가 출력되어 다른 작업을 계속 할 수 있음.- BackGround 작업은 명령의 실행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명령을 실행한 후 다른 작업을 할 때 용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17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프로세스 관리 도구 - top

프로세스 관리 도구- 'ps' 명령으로는 현재 프로세스 목록만 확인 가능- 이러한 정보를 좀 더 가공하여 보기 편하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- 터미널인 경우 'top' 명령, 우분투 GUI에 '시스템 감시' top-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출력 top 명령의 출력 정보 항목 의미 PID 프로세스 ID USER 사용자 계정 PR 우선 순위 NI Nice 값 VIRT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 크기 RES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크기 SHR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 크기 %CPU CPU 사용량 %MEM 메모리 사용량(%) TIME+ CPU 누적 이용 시간 COMMNAND 명령 이름 top 내부 명령 명령 의미 Enter, Space bar 화면을 즉시 다시 출력(새로 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15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프로세스 종료

프로세스 종료- 응답이 없는 프로세스 또는 불필요한 프로세스를 '강제 종료' 하기 위해서는 PID를 알아야함.- 'ps -ef', 'ps aux' 명령으로 PID와 PPID 확인 가능- 프로세스를 종료하는데는 'kill' 명령이나 'pkill'명령을 사용.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내 프로세스를 종료. 'kill' 명령을 통한 프로세스 종료- 'kill'명령은 인자로 지정한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전달- 시그널은 프로세스에 보내는 간단한 숫자 메세지.- 9번은 '강제종료', 15번은 '프로세스 종료', 2번은 '인터럽트'- 15번 시그널은 일반적인 프로세스 종료이지만, 시그널을 무시하거나 다른 동작을 하도록 지정되어 있다면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을 수 있음.- 'kill' 명령에서 시그널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13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프로세스 관리 명령(목록, 정보, 상세정보) - ps, pgre, BSD 옵션, 유닉스 옵션, GNU 옵션

프로세스 목록 보기 : ps-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 확인 명령어 : ps- ps 명령을 통해 출력되는 PID를 통해 프로세스의 '부모-자식' 관계 확인 가능- 우분투에서는 ps 명령의 옵션의 세 가지 유형을 모두 지원 ps 명령 옵션 - 유닉스(SVR4) 옵션 : 묶어서 사용가능, 붙임표로 시작(ex : -ef)- BSD 옵션 : 묶어서 사용가능, 붙임표로 시작하지 않음(ex : aux)- GNU 옵션 : 붙임표 두 개로 시작(ex : --pid) - 이 세 가지 유형은 섞어서 사용 가능. 하지만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 ps 명령 ps - 프로세스 목록 출력- PID : 프로세스 번호- TTY : 터미널 번호- TIME : 해당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시간의 양- CMD : 프로세스가 실행 중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10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프로세스 개념 - 시그널, 프로세스 종류

프로세스-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뜻함.-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다중 프로세스 시스템-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 프로세스의 '부모-자식' 관계- 모든 프로세스는 '부모-자식' 관계를 가지고 있음- 필요에 따라 '부모 프로세스(Parent Process)'는 '자식 프로세스(Child Process)'를 생성- 자식 프로세스도 부모가 되어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 수 있음-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 스케쥴러가 실행한 프로세스 'init'과 'kthreadd' 프로세스를 제외하면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음.-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프로세스- 자식 프로세스는 작업이 끝나면 부모 프로세스에게 결과를 돌려주고 종료 프로세스의 번호 - PID(Process..

OS/Linux - Ubuntu 2015.03.02

[Linux - 리눅스 / Ubuntu - 우분투] [요약] 파일 접근 권한 관리

접근권한 - 접근 권한 : 사용자의 파일을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보안 기능- 사용자를 소유자, 그룹, 기타 사용자의 세 카테고리로 나누고, 각 카테고리별로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 정의 접근 권한 표기 - 읽기 권한 'r', 쓰기 권한 'w', 실행 권한 'x'- 해당 권한이 없는 경우 '-' 로 표기 접근 권한 변경(기호) - 'chmod' 명령으로 접근 권한 변경시 권한을 문자와 기호로 표기- 소유자 'u', 그룹 'g', 기타 사용자 'o', 전체 사용자 'a'- '+', '-' 기호로 부여 또는 제거 - 기호모드 사용 접근 권한 설정 예 권한 표기 의미 u+w 소유자(u)에게 쓰기(w) 권한 부여(+) u-x 소유자(u)의 실행(x)권한 제거(-) g+w 그룹(g)에 쓰기(w)권한 부여(+) o..

OS/Linux - Ubuntu 2015.02.28
반응형